신임 팀장교육중 점심시간에 한 분이 조심스럽게 다가왔다.
동기들 중 가장 빨리 승진해서 많은 축하를 받았다는 그분은 지금 딱 3개월 차. 그런데 표정이 좋지 않았다.
"강사님... 솔직히 때려치고 싶어요."
왜 그러냐고 물으니 이런 이야기를 하셨다.
실무자 때 자신을 그렇게 아껴주시던 본부장님도, 자신을 잘 챙겨주던 후배도 팀장된 이후 자꾸 삐걱거린다는 것이다. 자신은 변한 게 없는데 주변이 너무 달라졌다고 하소연했다.
실무자 때 워낙 에이스라 빨리 승진했지만, 팀장 되자마자 적응을 못해서 좌절하는 분들을 나는 워낙 많이 봐왔다. 그분들뿐 아니라 대부분 신임 팀장이 되신 분들이 이 부분을 잘 몰라서 혹독한 1-2년 차 팀장 시기를 거친다.
그 세 가지 이유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첫째, 서로 간의 기대치를 명확히 하지 않았다
신임 팀장들이 자주 저지르는 실수 중 하나는 함께 일하는 팀원들에게 자신의 기대치를 말로 확인하지 않는 것이다.
일 잘하던 팀원 시절에는 자신은 팀장이 뭘 원하는지 정확히 알았다.
회사에서 업무 관련 소통 대상은 거의 대부분 팀장 한 명이었기 때문이다.
팀장 하나만 상대하면 모든 게 일사천리로 끝났다.
그래서
팀장이 아침 9시 전에 메신저로 "보고드립니다" 하고 보내면 기분 좋아진다는 것을. A4 한 장으로 핵심만 딱 정리해 놓은 문서를 선호한다는 것을. 의사결정은 회의 직전보다 점심 직후에 설명하면 더 잘 받아들인다는 것을. 잘 알았다.
그래서 보고할 때 항상 그 타이밍, 그 포맷, 그 방식으로 움직였다.
자신이 팀장이 되면 팀원들도 당연히 그럴 줄 알았다.
그런데 팀원들을 보면 너무 답답하다.
김대리에게 보고를 받으려고 하면 "진행 중이에요.. 곧 정리해서 드릴게요.." 이렇게만 말하고 언제 어떻게 정리할 것인지 말하지 않는다.
최과장은 어떤 날엔 10페이지 넘는 PPT를 들고 와서 설명하려 하고, 또 어떤 날은 회의 전 5분 전에 갑자기 구두 보고로 마무리하겠다고 한다. 포맷도 들쭉날쭉. 어떤 보고는 엑셀, 어떤 건 한글, 어떤 건 이미지 스크랩.
이주임은 중요한 이슈가 발생했는데 전혀 보고하지 않고 있다가 회의 직전에 돼서야 물어보니 "아.. 그거 보고하려고 했는데 시기를 놓쳤어요"라고 변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