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29 GAM LETTER 50호 |
|
|
“정말 위기는 위기인가 봐요. 요즘 회사 분위기 말이 아니에요” 요즘 강의를 가면 자주 듣는 이야기 입니다.
엉망인 정치에, 막무가내인 국제정세에, 최악의 소비심리에, 폭등하는 물가에, 죽어나는 것은 서민과 기업들이라고 힘들어 합니다.
이럴 때 해드리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순간이야 말로 리더십의 진짜 실력을 가늠하는 순간이다."
그런데 우리가 흔히 착각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리더십의 성공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을 '얼마나 많은 리더 경험을 쌓았는가'로 판단합니다.
그래서 경험많은 리더를 찾으려고 하지요
이번 GAM Letter에서는 '리더십의 성공을 가르는 결정적 차이가 무엇인가'라는 요인에 대한 수많은 연구결과를 살펴보고 뭐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이를 행동에 옮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를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함께 생각해보시죠. 리더의 무엇이 우리 조직의 성공을 결정할까요? |
|
|
리더십의 성공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무엇이 리더십의 성공을 예측할까?
어떤 프로젝트든 성공하려면 아래 10가지의 요소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10가지를 관리하고 리딩하는 리더가 필수적이다.
|
|
|
리더가 갖춰야 할 다양한 자질과 스킬이 있다. 리더의 타고난 자질(traits)은 리더십 스킬 발현을 용이하게 만드리기도 하고, 방해 요소로 작동되기도 한다. |
|
|
리더십 스킬 개발은 흔히 70-20-10법칙이라고들 말한다. 좋은 리더는 70%의 경험과, 20%의 동료나 멘토와 같은 사람, 10%의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항간의 이 법칙은 리더십 스킬에 있어 학습의 영향력을 낮게 예측한다. 직관적으로 틀린 말은 아닌 것 같다. 리더십은 학습의 영역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현장에서 발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경험이 리더십의 성공을 보장할 수 있을까?
미국 대기업의 리더십 육성 담당 임원으로 구성된 미국 기업운영이사회(CEB) 연구팀은 5,400명의 리더와 이들의 관리자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리더들이 겪는 문제점은 매우 전형적이었다. 크게 5가지 문제가 리더십의 실패로 연결됐기 때문이다. 처음 리더가 된 사람부터, 중간 관리자로 승진한 사람, 고위급 임원에 이르기까지 리더십에 실패하는 전형적인 이유는 같았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현상이 발견됐다. 경험이 많은 리더들과 처음 리더가 된 사람들 사이에 실패하는 이유에 있어 큰 차이가 없었다.
|
|
|
이 현상은 무엇을 의미할까?
사람 변하지 않는다?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리더로서 경험이 리더십의 성공을 보장하지 않는다 는 사실이다. 경험이 많은 리더가 성공한다는 믿음은 착각에 가깝다.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를 졸업하고 이제는 세계적인 경영학자가 된 템플대 오인수 교수가 동료들과 함께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에 게재한 논문을 보자. 4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의 결과는 매우 분명했다. 리더십 스킬은 경험의 양이 아니라 질적인 차이였다. 단순히 오랫동안 경험한 것은 리더십의 향상과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리더십의 성공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리더로서 겪는 다양한 역경을 학습과 성장의 기회로 인식하느냐와 그렇지 않느냐였다. 부하직원과의 껄끄럽거나 적대적인 관계, 직책이 높은 인사가 반대하는 프로젝트, 자원이 부족한 조직을 이끌어야 하는 어려움, 권한은 줄고 책임만 늘어가는 환경 등 다양한 역경은 리더십을 시험한다. 열거한 역경의 모습은 다양하지만 한 가지 공통점은 있다. 바로 이러한 역경을 학습의 기회로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
|
|
역경을 학습의 기회로 인식한 리더들은 상위급 리더가 평가한 리더십 스킬에서 일관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대로, 역경을 학습의 기회로 인식하지 못한 리더들의 리더십 평가 점수는 낮았다. 물론 여기에 리더십의 기본적인 스킬이 더해지면 더 좋은 결과로 이어졌다. 다시 말해, 기본적인 리더십 스킬이 확보된 상태에서 역경을 학습 기회로 인식한 리더의 평가가 더 높았다는 뜻 이다. 역경을 학습 기회로 인식하는 것 자체로도 리더십 평가 점수를 높일 수 있지만, 비즈니스 전략과 지식, 설득, 통찰력, 헌신 등 리더십 스킬이 더해진다면 더 큰 향상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모든 리더는 리더십의 성공을 바란다. 그러나 단순한 경험은 결코 리더십의 성공을 보장하지 않는다. 리더십 학습의 효과는 예상보다 크다. 학습 자체도 중요하지만 역경을 학습의 기회로 바라보는 마인드셋은 훨씬 더 중요하다. 리더십의 성공을 바란다면 눈앞의 문제나 역경을 배울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리더십의 성공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은 바로 역경을 배울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하는 것이다. |
|
|
1. 절체절명 위기의 리더를 뽑아야 할 시간이 왔습니다.
투표 한번 잘 못해서 온 나라, 온 국민이 얼마나 고생을 했는지 우리는 지난 겨울과 봄을 통해 뼈저리게 경험했고, 그 위기는 지금도 진행중 입니다.
이 위기를 만드는데 일익을 담당하고 이 위기의 책임자들이 또 자기가 적임자라는 헛소리를 해대면서 토론에 참여해서 보정속옷과 키높이 구두이야기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제발 부디 6월3일에
역경을 경험했던 사람, 그리고 그 역경이 올 때 마다 좌절하지 않고 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로 삼아 더 성장했던 사람, 그 사람이 대한민국의 리더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그 리더가 위기의 대한민국을 살리기를 바랍니다. |
|
|
2. GAM컨설팅은 기업교육을 통한 기업의 성장(Growth), 컨텐츠 창작자들을 위한 심리학 학습(Awareness), 강사가 되고 싶은 직장인들을 위한 강사 인큐베이팅(Mentor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기관 입니다.
여러분의 고민을 항상 함께 하겠습니다. |
|
|
3. GAM Letter는 대한민국 최고의 기업교육 전문가들인 강사, 교육담당자, 컨설턴트에게 주1회 이상 정기적으로 발송되는 기업교육 전문 뉴스레터 입니다.
직장생활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이슈와 의견, 소식등을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