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자제력이 인생의 성공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열쇠다."
마시멜로 실험 이야기다. 한 선생님이 만 4세 가량의 아이에게 아이들이 너무나 좋아하는 마시멜로 하나를 책상 위에 올려놓고 이렇게 말한다.
"선생님이 15분 뒤에 돌어올 거야. 그때까지 이걸 먹지 않고 기다리면 하나를 더 줄께"
이 때, 기다려서 두 개를 받았던 아이들을 추적 관찰했다. 이 아이들은 청소년기에 리더십, 인지능력, 학습능력, 평판, 학업성적, 건강상태 등이 우수했고 좌절과 스트레스를 견디는 힘도 강했다. 자제력, 의지력으로 알려진 만족지연 능력 (delay of gratification)은 인생의 성공을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다.
이후 마시멜로 실험은 여러차례 도전을 받았다. 가장 중요한 도전은 이 실험이 스탠포드 대학교 병설 유치원에서 진행됐다는 점이다. 스탠포드 교직원 자녀면 이미 가정 환경을 비롯한 사회, 경제적 지위가 미국 내에서도 매우 우수한 집단이다. 가정이나 양육환경, 사회경제적 지위 등 다른 조건이 통제됐으니 매우 좋은 실험이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다.
즉, 다른 환경적 요인이 통제된 상태에서 만족지연능력(delay of gratification)만 다른 것을 확인했으니 얼마나 완벽한 실험 조건이냐는 것이다. 그런데, 이 말의 다른 한 편으로는 환경적 조건이 다른 곳에서는 일반화할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실제, 90년 미국립보건원이 실시한 900여 건의 데이터를 보면, 이때도 기다린 아이들은 15세 때 공부도 잘하고 문제를 일으킬 확률도 낮았다. 그런데, 가정환경이나 지능 같은 요소를 통제하자 인과관계는 사라졌다. 다시 말해 지능이나 가정환경이 비슷하다면 기다리던 그렇지 않던 청소년기의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없었다는 말이다. 가정환경이 우수한 아이들은 상대적으로 오래 참았고, 그렇지 않은 아이들은 대체로 참을성이 없었다. 이때, 어머니의 학력은 다른 요소에 비해 훨씬 중요했다.
가난한 집 아이들은 참을성도 없었다. 가난하면 확실히 보장된 것이 적다. 오늘은 음식이 있지만 내일은 없을 수 있다. 부모가 약속한 내일의 마시멜로는 막상 내일이 되면 약속이 깨질 수 있다. 아이들은 누군가를 신뢰하기 어렵다. 이 연구가 밝혀낸 바는 사회경제적 환경이라는 효과가 실제로는 가장 중요하며, 아이들의 만족지연능력은 이에 비하면 영향력이 없거나 미미하다는 것이다.
어쩌면 마시멜로 하나를 더 기다린 것으로 인생의 성공을 예측한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발상일지 모른다. 만족지연능력이 단순한 자제력이나 인내심이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포함한 복합적 능력일 수 있기 때문이다.